티스토리 뷰
목차
서론|세계유산의 가을을 걷다, 공주와 부여에서 10일
2025년 제71회 백제문화제는 10월 3일(금)부터 10월 12일(일)까지 10일간 충남 부여·공주 일원에서 열리며, 부여는 백제문화단지·구드래·시가지, 공주는 금강신관공원·미르섬·공산성·왕도심을 중심 무대로 삼습니다. 축제의 골격은 전통 제례·퍼레이드·대표 공연과 야간 경관·미디어쇼, 체험·교육·전시·판매 등으로 구성되고, 세계유산인 백제역사유적지구(공산성·송산리 고분군·부소산성·정림사지·능산리 고분군 등)의 스토리텔링을 무대 연출과 야간 조명에 적극 반영하는 점이 특징입니다. 올해는 ‘세계유산 10주년’ 메시지가 강조되면서 부여·공주 양 지자체가 공식 홈페이지에서 기간·장소·프로그램 카테고리를 확정 공지했고, 부여 측은 ‘출연가수 라인업 & 공연 일정’을 별도 게시로 공개했습니다. 본 글은 공식 공지와 현지 관광·문화 포털의 안내를 바탕으로 관람 핵심과 시간대별 추천 동선, 교통·주차·셔틀 팁, 그리고 실존 맛집·카페·주변 볼거리 정보를 구조화하여 정리해 드립니다.
① 축제 한눈에 보기|기간·장소·하이라이트
공식 기간은 2025.10.03(금)~10.12(일)이며 부여 측 메인 행사장은 백제문화단지·구드래·시가지, 공주 측은 금강신관공원·미르섬·공산성·왕도심입니다. 대표 섹션은 ‘대표·공식·전시·공연·교육·체험·제례·판매·홍보’로 나뉘며, ‘행사일정/배치도/셔틀/주차’ 안내를 현장 직전까지 수시 업데이트합니다. 개막 축하공연은 폴킴·프로미스나인·체리필터 라인업으로 예고되었고, 추석 시즌에는 ‘부여의 별밤 콘서트’(조성모·소찬휘·박완규·채연·K2·박기영)와 ‘사비궁 가을 콘서트’(데이브레이크·드림노트·최유리)가 공지되었습니다. 관람 전 부여·공주 공식 ‘행사일정’ 메뉴에서 카테고리별 상세 시간을 꼭 확인하시길 권합니다.
기간·장소 요약
구분 | 기간 | 핵심 장소 | 비고 |
---|---|---|---|
부여 | 2025.10.3~10.12 | 백제문화단지·구드래·시가지 | 라인업·공연 일정 별도 공지 |
공주 | 2025.10.3~10.12 | 금강신관공원·미르섬·공산성·왕도심 | 세계유산 10주년 테마 강조 |
② 관람 동선 전략|시간대별 추천 코스와 촬영 포인트
A. 낮 타임(10:00~16:00)
부여에서는 백제문화단지의 사비궁·능산리 고분군 전시·체험관을 낮에 돌며 역사 해설을 듣고, 구드래 조각공원·나루터 산책로까지 걸어가 강변 풍경과 포토 스폿을 확보하시면 좋습니다. 공주에서는 금강신관공원 상설 프로그램을 훑고 공산성 남문·서문·산책로를 잇는 순환 코스로 성곽·금강뷰를 담으신 뒤, 신관동 일대 푸드존에서 점심을 해결하면 이동 효율이 높습니다. 낮 시간대는 가족·단체 체험, 전통 공예·한복 체험, 어린이 교육형 프로그램이 집중되는 만큼 대기 시간을 고려해 예약형·시간제 운영 부스를 먼저 방문하는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B. 석양~야간(17:00~22:00)
해가 기울 무렵부터는 부여 구드래 일대 금강변과 사비궁 야간 경관 연출, 공주 미르섬·신관공원 미디어 파사드가 사진·영상의 최적 타임입니다. 개막·콘서트·불꽃·미디어쇼 같은 빅 이벤트는 야간 분산 배치되는 경우가 많아, 공연 시간표를 사전 체크하고 동선 겹침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특히 추석 시즌 특별 공연이 편성되어 관람객 밀집이 예상되니, 대중교통 또는 셔틀·임시주차장을 병행해 진입·철수 시간을 분산하시길 권합니다.
시간대별 추천 루트
시간대 | 부여 루트 | 공주 루트 | 팁 |
---|---|---|---|
오전 | 백제문화단지 역사관→사비궁→능산리고분군 전시 | 금강신관공원 상설→공산성 남문·서문 산책 | 예약·체험형 먼저, 대기 분산 |
오후 | 구드래 조각공원·나루터 산책→시가지 플리마켓 | 왕도심 플리마켓→신관동 먹거리 존 | 주차 회전률↑ 시간대 선택 |
야간 | 사비궁·구드래 야간 경관→콘서트 | 미르섬 미디어쇼→야간 공연 | 셔틀·임시주차 병행, 도보 이동 준비 |
③ 대표 프로그램·공연|라인업·제례·체험·전시
대표 카테고리는 ‘대표(개·폐막, 하이라이트 쇼)–공식(시민참여·퍼레이드)–전시·공연(뮤직·무용·국악)–교육·체험(전통공예·의복·문양 체험)–제례·불전–판매·홍보(지역상생 마켓)’입니다. 부여 공식 게시판은 ‘개막 축하공연’과 ‘부여의 별밤 콘서트’ 라인업을 사전 공지했고, 사비궁·구드래 무대 중심의 일자별 공연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주 공식 페이지는 세계유산 10주년 테마를 전면에 내세우며, 금강신관공원·미르섬의 대표 공연과 왕도심(원도심) 연계 프로그램을 안내합니다. 구체적인 세부 시간·무대 배치는 행사 임박 시 갱신될 수 있으므로 행사일정–프로그램 한눈에–공지 3개 메뉴를 병행 확인하시면 가장 정확합니다.
라인업·핵심 이벤트(발췌)
구분 | 내용 | 장소·비고 |
---|---|---|
개막 축하공연 | 폴킴·프로미스나인·체리필터 | 부여 무대, 일자·시간 공지 확인 |
부여의 별밤 콘서트 | 조성모·소찬휘·박완규·채연·K2·박기영 | 추석 시즌 스페셜 편성 |
사비궁 가을 콘서트 | 데이브레이크·드림노트·최유리 | 야간 경관 연계 |
세계유산 10주년 | 공주·부여 세계유산 테마 전시·미디어쇼 | 공산성·정림사지 스토리텔링 |
④ 교통·주차·셔틀|혼잡 회피와 진입·철수 요령
자가 이동 시 부여는 구드래·백제문화단지 주변 임시주차·환승동선, 공주는 금강신관공원·신관동 주변 공영·임시주차의 회전율을 활용하는 편이 유리합니다. 대체로 개막 주말·추석 연휴·피날레 3구간이 혼잡 상위이므로, 오전 일찍 진입→오후 휴식→석양 재진입 혹은 야간 공연 종료 전 10~15분 조기 철수 같은 시간 분할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대중교통은 KTX/ITX 세종·공주 연계 후 시내버스·셔틀 환승이 표준 루트이며, 세부 셔틀·임시주차 노선은 공식 ‘행사일정/오시는 길/주차·셔틀’ 메뉴에서 행사 임박 공지를 확인하시면 정확합니다.
진입·철수 체크리스트
상황 | 추천 행동 | 비고 |
---|---|---|
개막/연휴 피크 | 오전 진입→점심 외곽 이동→석양 복귀 | 가족·단체 최적 |
야간 대형 공연 | 입장 40분 전 도착·출구측 배치, 종료 10~15분 전 이동 | 주차 대기 최소화 |
대중교통 | KTX/ITX→시내버스·셔틀 환승·도보 | 노선 공지 확인 필수 |
⑤ 맛집·카페 추천|현지 인기 상권 위주(네이버 평점·리뷰 수는 수시 변동)
아래 업장은 축제 동선과의 접근성, 방송·로컬 수요, 포털·리뷰 신뢰도를 종합해 추렸습니다. 네이버 플레이스의 평점·리뷰 수는 상시 변동되므로, 방문 직전 해당 플레이스에서 최신 수치를 재확인해 주세요. 주소·대표메뉴·특징은 공식/신뢰 가능한 공개 페이지와 다이렉트 리뷰·가이드 기반으로 정리했습니다.
공주 맛집 2
업장 | 위치·연락처 | 대표 메뉴·가격대 | 특징(요약) |
---|---|---|---|
곰골식당 | 충남 공주시 봉황산1길 1-2 T. 041-855-6481 |
생선구이(1인) 약 10,000원 참숯제육석쇠한판 약 15,000원 |
화덕 생선구이와 숯불 제육의 가성비로 유명. 공산성·무령왕릉 동선과 연계 용이. |
동해원 | 충남 공주시 우성면 이동면로 737 | 짬뽕·짬뽕밥·짜장(단출한 구성) | ‘전국 5대 짬뽕’으로 입소문. 대기·조기입장 필요, 현금 결제 선호 사례. |
부여 맛집 2
업장 | 위치 | 대표 메뉴·가격대 | 특징(요약) |
---|---|---|---|
서동한우 본점 | 충남 부여군 부여읍 성왕로 256 | 건조숙성 한우(등심·채끝·티본 등) | 드라이에이징 콘셉트의 대표 고기집. 궁남지·구드래 접근성 양호. |
구드래돌쌈밥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나루터로 31 (구드래) | 돌쌈밥·연잎밥·주물럭쌈 등 | 강변 산책·구드래 조각공원 연계 한식 상차림. 회전 빠른 피크타임 대기. |
카페 2(공주·부여)
업장 | 위치 | 추천 메뉴 | 특징 |
---|---|---|---|
망중한 커피앤티(공주) | 공주 한옥 지구권(공산성 일대 한옥 카페 군) | 밤 아이스크림·전통차 | 한옥 감성·밤 디저트로 SNS 사진 포인트 다수. |
at267(부여) | 부여읍 서동로권(궁남지 인근) | 브루잉·케이크 | 궁남지·시가지 산책 동선 연계 뷰 카페로 후기 활발. |
⑥ 주변 볼거리|세계유산·강변 산책과 낮·밤 스위칭
부여: 부소산성 낙화암·사비루·고란사와 정림사지 오층석탑, 궁남지 연꽃 정원·산책로, 능산리 고분군의 백제 금동대향로 스토리 전시 동선이 대표 축입니다. 공주: 공산성 성곽 트레일과 금강 뷰, 송산리 고분군(무령왕릉 전시), 미르섬 야간 경관 스폿, 금강신관공원 강변 산책과 야시장이 인기입니다. 축제 기간에는 각 장소의 야간 연출이 강화되어, 낮에는 역사 해설 중심–밤에는 조명·미디어 뷰 중심으로 스위칭하면 사진·영상 결과물이 확연히 달라집니다.
세계유산 키워드
도시 | 유적 | 관람 팁 |
---|---|---|
부여 | 부소산성·정림사지·능산리 고분군 | 낮: 해설 위주 / 밤: 사비궁·구드래 조명샷 |
공주 | 공산성·송산리 고분군(무령왕릉) | 공산성 서문~남문 트레일, 금강 야간 뷰 |
⑦ 예산·체크리스트|식비·교통·체험 소요와 준비물
항목 | 1일 예상(1인) | 메모 |
---|---|---|
식비 | ₩20,000~₩35,000 | 로컬 식당 기준(점심+간식). 저녁 고기·쌈밥 시 가산 |
교통 | 자차: 주유·주차 / 대중교통: 왕복 ₩20,000± | 셔틀·임시주차 공지 확인 |
체험/입장 | ₩0~₩15,000 | 무료·유료 혼재(현장가 기준) |
준비물은 보조배터리·우천 대비 우비·접이식 방석·얇은 겉옷(야간 기온차)·현금 소액(일부 매장)·개인 텀블러·간단한 비상식(아이 동반 시)을 권장합니다. 공연 대기·야간 촬영 위주 일정이라면 미니 삼각대·ND/미러리스 예비 배터리를 준비하시면 촬영 성공률이 높아집니다.
결론|시간을 건너는 축제, 낮의 해설과 밤의 빛으로 완성됩니다
백제문화제의 매력은 낮과 밤의 대비에서 극대화됩니다. 낮에는 공주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 부여 부소산성과 정림사지, 능산리 고분군을 따라 세계유산의 맥락을 차분히 읽고, 밤에는 금강신관공원·미르섬·사비궁·구드래 일대를 밝히는 야간 연출과 공연으로 감각을 확장합니다. 2025년은 세계유산 10주년을 배경으로 부여·공주가 함께 무대를 키우는 해로, 공식 일정표·라인업·셔틀 공지가 행사 임박까지 갱신되므로 출발 전 최신 정보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가족·커플·사진가 모두에게 동선 최적화와 대중교통 병행, 야간 분산 관람을 추천드리며, 현지의 로컬 맛집과 카페를 골라 낮엔 해설·체험, 밤엔 공연·경관으로 채우시면 한결 완성도 높은 1박 2일 여행이 됩니다. 올가을, 사비와 웅진의 시간을 걸으며 세계유산의 가치를 여러분의 사진과 기록으로 남겨보시길 바랍니다.